22대 총선에 도전장을 낸 노동계 출신 인사들이 정권 심판론 분위기를 타고 대거 원내에 진입했다. 기업인 출신들이 이번 선거에서 고전한 것과 대조적이다.
노사 관계를 둘러싼 국회 지형이 한쪽으로 크게 기울어지자 ‘노란봉투법’ 등 기업이 가슴을 졸이는 입법안들이 앞다퉈 추진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노동계에 따르면 22대 총선에서 원내 입성한 노동계 출신은 총 16명으로 집계됐다. 21대 국회보다 1명 늘었고 노동계 출신이 가장 많이 당선된 20대 국회와 동수다. 이들 중 상당수는 선거 직전까지 노동조합 활동을 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 위원장 출신인 박해철 당선자(경기 안산병)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사무금융노조 위원장을 지낸 김현정 당선자(경기 평택병)가 국회로 들어왔다. 민주당의 비례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소속으로 전종덕 전 민주노총 사무총장과 박홍배 전 한국노총 금융노조 위원장이 국회에 입성했다. 전 당선자는 현 정부와 날을 세워온 양경수 민주노총 집행부 출신이다.
한노총 위원장 출신인 김주영 의원(경기 김포갑)과 한노총 의료산업노련 위원장 출신인 이수진 의원(경기 성남중원)은 재선에 성공했다. 민주당 소속 한준호 의원(경기 고양을)과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도 각각 재선과 3선 의원이 됐다. 노동계 인사 중에선 4선에 성공한 한정애 민주당 의원이 가장 선수가 높다.
국민의힘 비례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에선 김위상 전 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장이 국회로 입성했다. 국민의힘 김형동 의원(경북 안동·예천)과 임이자 의원(경북 상주·문경)은 각각 재선과 3선에 성공했다.
기사원문; 노조 출신 당선자 16명 역대 최다…노동시장 유연화 물 건너갈 듯 | 한국경제 (hankyung.com) |